백준 온라인 저지
백준 1707: 이분 그래프
dev_doyle
2018. 7. 16. 01:50
BFS를 사용해서 풀었다. check 벡터에 0은 방문되지 않은 곳 1은 집합1 2는 집합2로 나누어주고 각 정점에서 탐색을 해주면서 같은 집합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발견하면 NO를 출력해주면 된다.
1이후에 2, 2 이후에 1 을 check 벡터에 넣어주기 위해 식을 맨처음 check_num변수를 더하고 모듈로하고 온 갖 썡쑈를해서 계속해서 틀렸습니다를 남발했는데 현재의 값인 x와 다음 값이 temp사이의 관계식을 이용해서 계산하니 정답이 맞았다...
BFS, DFS 뭐로 하든 상관 없겠다. 난 BFS가 더 맘에 든다. 정복해나가는 느낌이어서
개인적으로 교훈은 내가 세운 식을 너무 믿으면 안될 것 같다. 내가 세운 복잡한 식은 틀리기 마련이다. 문제에서 주어진대로 점화식을 세울려고 노력하자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| #include <iostream> #include <vector> #include <queue> #include <string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 { //입출력을 받음 int t_case, vertex, edge, input_1, input_2; cin >> t_case; //t_case만큼 시도 for (int i = 0; i < t_case; ++i) { string result = "YES"; cin >> vertex >> edge; vector<int> check(20001, 0); vector<vector<int>> a(20001); queue<int> q; //간선 입력 받기 for (int i = 0; i < edge; ++i) { cin >> input_1 >> input_2; a[input_1].push_back(input_2); a[input_2].push_back(input_1); } //bfs 활용해서 풀기 for (int j = 1; j <= vertex; ++j) { if (check[j] == 0) { int check_num = 1; q.push(j); //첫 포인트 체크넘버 설정 by 1 check[j] = check_num; while (!q.empty()) { int x = q.front(); q.pop(); //1과2 를 번갈아 가면서 넣어줌 for (int i = 0; i < a[x].size(); ++i) { int temp = a[x][i]; //탐색되지 않은 곳이라면 탐색 if (check[temp] == 0) { check[temp] = (check[x] % 2) + 1; //2, 1 q.push(temp); } else if (check[temp] == check[x]) { //탐색한 곳인데 그곳이 같은 집합에 속한 정점이면 result = "NO"; } } } } } cout << result << endl; } return 0; } | cs |